862“어디에서 다툼과 쟁론,
한탄과 슬픔과 미혹,
자만과 오만, 비방이 일어납니까?
그것들이 어디에서 일어나는지, 이를 말씀해 주십시오!”863“사랑하는 것에서 다툼과 쟁론,
한탄과 슬픔과 미혹,
자만과 오만, 비방이 일어나나니,
다툼과 쟁론은 미혹에 얽매인 것이요,
비방은 쟁론에서 생겨난 것입니다.”864“실로 세간에서 사랑하는 것들,
혹은 세간을 돌아다니는 탐욕들은 어디에서 인연하며,
바라는 것들, 의지하는 것들,
즉 사람들이 미래를 위해 기대하는 것들은 어디에서 인연합니까?”865“세간에서 사랑하는 것들,
혹은 세간을 돌아다니는 탐욕들은 욕구에서 인연하며,
바라는 것들, 의지하는 것들,
즉 사람들이 미래를 위해 기대하는 것들도 욕구에서 인연합니다.”866“그러면 세간에서 욕구는 어디에서 인연하며
변별들은 어디에서 일어나며,
발분發憤과 망언妄言과 의문,
혹은 사문에 의하여 법들이라고 불리는 것들은 어디에서 일어납니까?”867“세간에서 ‘호好ㆍ불호不好’라고 하는 것,
그것을 의지하여 욕구가 생겨납니다.
대상(色)들에서 비존재와 존재를 보고서
세간의 유정은 변별을 짓습니다.868발분과 망언과 의문,
이것들 역시 바로 두 겹으로 법들입니다.
의문이 있는 자는 앎의 길에 이르기 위해 배우십시오,
앎으로써 [그것들은] 사문에 의하여 법들이라고 불립니다.”869“호ㆍ불호는 어디에서 인연하며,
무엇이 없을 때 그것들은 존재하지 않습니까?
또한 ‘비존재와 존재’라는 것, 그 뜻,
그것은 무엇에서 인연하는 것인지 제게 말씀해 주십시오!”870“호ㆍ불호는 촉觸에서 인연하는 것,
촉觸이 없을 때 그것들은 존재하지 않습니다.
또한 ‘비존재와 존재’라는 것, 그 뜻,
그것을 당신께 말해주노니, 여기에서 인연하는 것입니다.”871“그러면 세간에서 촉觸은 어디에서 인연하는 것이며,
움켜쥔 것들은 어디에서 생겨난 것들입니까?
무엇이 없을 때 ‘나의 것 삼음’이 없으며,
무엇이 없어질 때 촉觸들이 접촉하지 않습니까?”872“명名과 색色을 인하여 촉觸들이 있으며,
바람에서 인연하여 움켜쥔 것들이 있으며,
바람이 없을 때 ‘나의 것 삼음’이 없으며,
대상(色)이 없어질 때 촉觸들이 접촉하지 않습니다.”873“어떻게 계합한 자에게 대상(色)이 없어지며,
또한 안락이나 괴로움은 어떻게 없어집니까?
어떻게 없어지는지, 그것을 제게 말씀해 주십시오,
‘우리는 그것을 알아야 한다’는 생각이 제게 있었나이다.”
874“상想의 상想이 있는 자도 아니요, 비상非想의 상想이 있는 자도 아니요,
상想이 없는 자도 아니요, 상想이 없어진 자도 아닙니다.
이와 같이 계합한 자에게 대상(色)이 없어지나니,
실로 희론戱論ㆍ명명命名은 상想에서 인연하는 것입니다.”875“저희가 여쭈었던 바를 당신께서 명예롭게 하셨나이다.
다른 것을 여쭙겠사오니, 이것을 말씀해 주십시오.
실로 어떤 현자들은 이 정도의 궁극을 말하며,
여기에 야차의 청정이 있다고 말합니다.
혹 그중 어떤 현자들은 다른 청정을 말합니까?”876“실로 어떤 현자들은 이 정도의 궁극을 말하며,
여기에 야차의 청정이 있다고 말합니다.
나아가 그들 중 어떤 현자들은 계합을 말합니다,
무의자無依者들을 두고 선덕善德들이라 칭하는 현자들!877이러한 것들 역시 ‘의지물依支物’임을 알고서,
의지처들을 알고서 사량思量하는 자, 그는 모니牟尼입니다.
알고서 해탈하였으니 쟁론에 이르지 않으며
존재ㆍ비존재와 합하지 않나니, 그는 선인禪人입니다.”— «숫타니파타», “다툼과 쟁론 경”(Snp 4.11) 전문
* * *
우리나라의 경우 불교가 선불교 위주로 전승되어 현재 하나의 문화로 정착되어 있는 까닭에 ‘사량’이라는 낱말은 ‘사량분별’이라는 용어와 함께 매우 부정적인 어감을 갖고 있다. 하지만 초기불교 경전의 용례를 살펴보면, ‘사량思量(vīmaṃsā)’은 ‘살펴서(思, man) 가려낸다(量, vi)’는 의미를 갖고 있으며 매우 긍정적인 용례로 쓰인다.
그래서 이런 용례들을 근거로 일부 학자들은 초기불교의 지적인 전통이 대승불교에 의해 부정되었다고 판단하고, 사유와 합리적인 이해를 복원하는 것이 시급하다고 주장하기도 한다. 매우 그럴싸한 주장이지만, 내가 보기에는, 실은 무지몽매한 주장에 불과하여 별도로 반박할 가치도 없다고 본다. 일례로 이 경문에서 말하는 ‘사량’이라 함은, 심리적 장애가 모두 걷히고 청정에 계합한 자만이 가능한 것으로, ‘의지처들을 알고 살펴서 가려내는 것’을 말한다.
의지처? 지금 이 언어를 바탕으로 사고하고 판단하는 느끼는 과정에서 일렁이는 정신적ㆍ심리적ㆍ감정적 물결들이 모두 의지처이다. 언어도 의지처, 생각도 의지처, 감정도 의지처이다. 이런 것들이 의지처라는 것을, 언어적 사고를 거치지 않고서, “존재ㆍ비존재(=시비, 유무)”에 합하지 않고서, 알고서 살펴 가려낼 수 있는가? 이런 것들이 ‘의지처이다(是)’, ‘의지처가 아니다(非)’라는 “시ㆍ비”에 합하지 않고서, ‘의지처’임을 알고 가려낼 수 있는가? 지금 여기에서? 머리와 가슴 속에서 수런거리는 과정 일체를 거치지 않고, 즉 “청정”에 합하고서, 실시간 빈틈없이 ‘의지처들을 알고서 사량’할 수 있는가?
설마하니 ‘의지물, 의지처’를 의지하여 ‘의지물, 의지처’를 알거나 살펴 가려낼 수 있겠는가? ‘의지물, 의지처’를 알고서 살펴 가려낼 수 있는 자는 실은 범부가 아니라 모니牟尼, ‘청정’에 합한 무의자無依者, 시비ㆍ유무에 합하지 않는 선인禪人이다. 이 지점에서 범부는 모름지기 입을 다물고 생각을 그쳐야 한다.
‘의지처들을 알고서 사량함’에서의 ‘사량思量’은 모니의 언어, 무의자의 언어, 선인禪人의 언어이다. 그런데 어찌하여 선불교 선사禪師들은 ‘사량’을 쳐버렸을까? ‘사량’이라는 낱말이 범속화되었기 때문이다. ‘사량’을 입에 올리는 인사들이 한결같이 시비ㆍ유무에 함몰된 자들이었고, 그래서 선인禪人이 ‘사량’을 범부에게 말하는 순간 시비ㆍ유무의 그물에 걸리고 말기 때문이다. ‘사량’이 속절없이 ‘시비, 유무’와 동의어가 되는 시절이니, ‘사량’이라는 언어의 효력이 다한 것이다. ‘시비ㆍ유무’와 동의어가 되어버린 ‘사량’을 가지고 무엇을 할 수 있겠는가? 천신의 언어가 범속화됨으로써 마라의 언어가 되고 말았으니, 쳐버린다.
‘청정’은 또 어떤가. 선인禪人이 ‘청정’을 말하여도 범부들에게는 ‘청정’이라는 ‘의지물, 의지처’가 되고 만다. ‘청정’이 범부에게 닿는 순간 즉시 그 반댓말인 ‘의지물’로 번역된다. 범부에게 ‘청정’은 ‘청정’이 아니라 ‘의지물’이다. 범부는 그 어떤 것도 모두 의지물로 만들 수 있다. 그는 마라의 권속이다. 이것이 바로 고금의 성현들이 근심했던 바이며, 부처님께서도 이를 염려하여 “이러한 것들(‘청정’, ‘계합’, ‘무의자’) 역시 ‘의지물’임을 알고서,/ 의지처들을 알고서 사량思量하는 자, 그는 모니”라는 검법을 쓰신다. 이 뜻을 이어받아 금강경의 ‘A는 A가 아니라 그 이름이 A이다’라는 사구백비를 치는 논법이 등장한 것이다.
따라서, 초기불교 경전에서 ‘사량思量’을 마주치는 순간, 수천년의 언어사, 전승과 절단과 혁신의 역사가 눈앞에 펼쳐져야 한다. 모니의 희유한 언어가 범부의 입을 거침으로써 범속화되고, 후대의 명안明眼이 등장하여 한때 성스러웠으나 범속화된 언어를 쳐내고, 이후 새로운 언어가 출현하는 무림의 역사를 살려낼 줄 알아야 한다. 절단을 통해서 잇는 절묘한 솜씨, 표현으로는 전승을 파괴했으나 뜻으로는 전승에 살과 피를 입혀 되살려낸 살활의 검술, ‘청정’에 합하는 검술을 놓치지 말아야 한다.
이것이 바로 공자가 말하는 ‘술이부작述而不作’의 ‘술述’이 아니겠는가. 공자가 ‘술이부작’을 말하고 나서 괜히 팔백년을 살았다는 팽조와 자신을 빗댄 것이 아니다. 언어의 넝쿨을 쳐내고 고금을 꿰뚫는 안목이 있어야, 주희처럼 모르기 때문에 짓는 일(作)을 멀리하고서, 옛과 지금을 노닐며 새로운 언어로 ‘述’할 수 있는 법이다. “온고이지신溫故而知新”, 즉 옛 언어를 통달하고 새 언어로 술述할 줄 아는 자가 바로 스승이며, 이런 스승이야말로 천년을 산 사람과 다를 바 없다.
지금 이 시절의 불교 공부인은, ‘사량思量’의 사례처럼, 경전 언어를 둘러싼 천신과 마라의 누천년 전쟁사를 숙지하고 있어야 한다. 이 기본 자세를 갖추어야만 비로소 소승이니 대승이니 하는 진영 싸움이나 자기만의 전통에 매몰되지 않고, 초기불교에서부터 대승불교, 선불교에 이르기까지 유구한 역사의 소중한 가르침들을 모두 수용하여 새로운 언어를 내놓을 수 있다. 이 기본 자세에서 출발하여 유장한 호흡으로 세간의 유수한 학자들의 표피적이고 메마른 해석을 흩어버리고, 다툼과 쟁론을 멀리하고, 욕구와 탐욕을 버리고, 호불호ㆍ시비ㆍ유무의 근원으로 거슬러 올라가, 촉觸을 넘고 바람을 넘어, 명名과 색色, 희론과 명명, 상想의 폭류를 건너, 청정에 합하고, 무의자로서 모니로서 선인으로서 노닐어야 한다. 그때 비로소 “의지처들을 알고서 사량思量하리니”, 사량思量하는 자, 그는 더 이상 시비ㆍ유무에 합하지 않으리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