숫타니파타 4.9, “마간디야 경”

835‘탄하(愛)’와 ‘아라티(厭)’와 ‘라가(貪)’를 보고서도
나는 음욕에 이르는 욕구조차 없었으니
그 똥과 오줌으로 가득한 것이 과연 무엇입니까?
실로 발 닿기조차 원치 않았습니다.

836만약 당신께서 그런 종류의 보배,
수많은 왕들이 구했던 여인을 원치 않으신다면,
어떤 부류의 견해와 계금戒禁생활,
그리고 존재(有)의 수립을 말씀하십니까?

837(세존께서 마간디야에게 이르시되)
그것에 대해 ‘나는 이것을 말한다’라는 것 없으니
법들에 사로잡히는 바를 분간해야 합니다.
그리고 견해들 속에서 보이는 바를 취하지 않고서
간파하면서 안의 평온을 나는 철견하였습니다.

838(마간디야가 이르되)
사유된 것들을 낱낱 분간하시고서
실로 그것들을, 모니牟尼시여, 취하지 않으시고서
‘안의 평온’이라고 말씀하셨사온데 그 뜻하는 바,
그것은 참으로 어떻게 선인禪人들에게 알려지는 것입니까?

839(세존께서 마간디야에게 이르시되)
견해에 의한, 들음에 의한, 앎에 의한,
계금戒禁에 의한 청정을 [모니牟尼는] 말하지 않습니다.
견해 아님에 의한, 들음 아님에 의한, 앎 아님에 의한,
계戒 아님에 의한, 금禁 아님에 의한 청정도 말하지 않습니다.
이것들을 집착하지 않고 취하지 않으며,
평온한 자로서 의지하지 않으며, 존재(有)를 두고 분분하지 않습니다.

840(마간디야가 이르되)
참으로 견해에 의한, 들음에 의한, 앎에 의한,
계금에 의한 청정을 말하지 않는다면,
견해 아님에 의한, 들음 아님에 의한, 앎 아님에 의한,
계戒 아님에 의한, 금禁 아님에 의한 청정도 말하지 않는다면,
다만 무지몽매한 법에 불과하다고 저는 생각합니다.
어떤 이들은 견해에 의해 청정으로 돌아갑니다.

841(세존께서 마간디야에게 이르시되)
당신은 견해를 의지하고서 묻고 있으니
사로잡힌 것들에 빠져 몽매함에 이른 것이요,
이로써 약간의 상想조차도 보지 못한 것입니다.
그리하여 당신은 이와 같이 무지몽매함에 소진되고 있습니다.

842혹은 ‘같은 자’, 혹은 ‘나은 자’, 혹은 ‘못한 자’라고
생각하는 자, 그는 그들과 더불어 쟁론합니다.
세 부류 가운데에서 동요함이 없는 자라면,
그는 ‘같은 자’, ‘나은 자’라는 것이 없습니다.

843그런 바라문이 무엇을 ‘진리이다’라고 말하겠으며,
누구와 더불어 ‘거짓이다’라고 쟁론하겠습니까?
같음도 같지 않음도 없는 자라면,
그가 누구와 더불어 말을 다투겠습니까?

844집을 버리고 거처를 좇지 않는 자,
마을에서 친분을 맺지 않는 모니牟尼,
욕락欲樂들이 텅 비어 바라는 바가 없는 자,
그가 어찌 사람들과 더불어 논쟁하겠습니까?

845무언가를 여의고 세간에서 노니는 용龍이라면,
바로 그 무언가를 취하지 않고서 말할 것입니다.
마치 수련과 가시연과 어리연이
물과 진흙에 묻지 않듯이,
모니牟尼는 말이 평온한 자, 갈구함 없는 자,
욕락과 세간에 묻지 않습니다.

846명지明智에 이른 자는 견해나 지각에 의해
만慢에 이르지 않나니, 참으로 그는 만慢에 이른 자가 아닙니다.
행위(業)에 의해서도 들음에 의해서도 이끌리지 않을 것이니,
그는 거처에 끌려들지 않는 자입니다.

847상想에서 이탐離貪한 자에게는 속박들이 없으며,
혜해탈慧解脫한 자에게는 어리석음(癡)들이 없습니다.
그러나 상想과 견해를 취한 자들은
옥신각신 싸우면서 세간에서 노닙니다.

— «숫타니파타», “마간디야 경”[1]이 경은 “무언가를 떠난 자, 그 무언가를 취하지 않고 말하는 법”이라는 글로 독해한 바 있다. 그때 번역을 약간 고쳤다. 전문

835“disvāna taṇhaṃ aratiṃ ragañca
nāhosi chando api methunasmiṃ.
kimevidaṃ muttakarīsapuṇṇaṃ
pādāpi naṃ samphusituṃ na icche”.

836“etādisaṃ ce ratanaṃ na icchasi
nāriṃ narindehi bahūhi patthitaṃ,
diṭṭhigataṃ sīlavataṃ nu jīvitaṃ
bhavūpapattiñca vadesi kīdisaṃ”.

837“idaṃ vadāmīti na tassa hoti
(māgaṇḍiyāti bhagavā)
dhammesu niccheyya samuggahītaṃ.
passañca diṭṭhīsu anuggahāya
ajjhattasantiṃ pacinaṃ adassaṃ”.

838“vinicchayā yāni pakappitāni
(iti māgaṇḍiyo )
te ve munī brūsi anuggahāya.
ajjhattasantīti yametamatthaṃ
kathaṃ nu dhīrehi paveditaṃ taṃ”.

839“na diṭṭhiyā na sutiyā na ñāṇena
(māgaṇḍiyāti bhagavā)
sīlabbatenāpi na suddhimāha.
adiṭṭhiyā assutiyā añāṇā
asīlatā abbatā nopi tena.
ete ca nissajja anuggahāya
santo anissāya bhavaṃ na jappe”.

840“no ce kira diṭṭhiyā na sutiyā na ñāṇena
(iti māgaṇḍiyo)
sīlabbatenāpi na suddhimāha,
adiṭṭhiyā assutiyā añāṇā
asīlatā abbatā nopi tena,
maññāmahaṃ momuhameva dhammaṃ
diṭṭhiyā eke paccenti suddhiṃ”.

841“diṭṭhañca nissāya anupucchamāno
(māgaṇḍiyāti bhagavā)
samuggahītesu pamohamāgā.
ito ca nāddakkhi aṇumpi saññaṃ
tasmā tuvaṃ momuhato dahāsi.

842“samo visesī uda vā nihīno
yo maññatī so vivadetha tena.
tīsu vidhāsu avikampamāno
samo visesīti na tassa hoti.

843“saccanti so brāhmaṇo kiṃ vadeyya
musāti vā so vivadetha kena.
yasmiṃ samaṃ visamaṃ vāpi natthi
sa kena vādaṃ paṭisaṃyujeyya.

844“okaṃ pahāya aniketasārī
gāme akubbaṃ muni santhavāni.
kāmehi ritto apurekkharāno
kathaṃ na viggayha janena kayirā.

845“yehi vivitto vicareyya loke
na tāni uggayha vadeyya nāgo.
jalambujaṃ kaṇḍakaṃ vārijaṃ yathā
jalena paṅkena canūpalittaṃ.
evaṃ munī santivādo agiddho
kāme ca loke ca anūpalitto.

846“na vedagū diṭṭhiyā na mutiyā
sa mānameti na hi tammayo so.
na kammunā nopi sutena neyyo
anūpanīto sa nivesanesu.

847“saññāvirattassa na santi ganthā
paññāvimuttassa na santi mohā.
saññañca diṭṭhiñca ye aggahesuṃ
te ghaṭṭayantā vicaranti loke”ti.

* 각주   [ + ]

1. 이 경은 “무언가를 떠난 자, 그 무언가를 취하지 않고 말하는 법”이라는 글로 독해한 바 있다. 그때 번역을 약간 고쳤다.

Leave a Reply

Your email address will not be published. Required fields are mark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