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에는 모차르트 관련 서적이 몇 권 번역이 되어 있습니다. 개개 작품의 해설서로는 음악세계에서 출간된 ‘작곡가별 명곡해설 라이브러리’ 시리즈물의 “모차르트 I”과 “모차르트 II”가 유일합니다. 이 책은 일본의 “音樂의벗” 출판사에서 출간한 책을 번역한 것이지요. 거의 대부분의 작품을 망라하고 있는 것이 장점이며, 작품 해설에 치중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작품의 해석과 관련한 것으로는 장-빅토르 오카르/송숙자, “모차르트”(중앙일보사)가 있는데요. 이 책은 모차르트의 연대에 맞춰서 서술하되 음악적 변모, 작품 양식의 분석, 주요 작품의 해석 등, 대단히 음악학적으로 충실한 저서입니다. 이 책은 1995년에 출판된 것으로서 유감스럽게도 현재 절판상태입니다. 또다른 해석서로는 최근에 번역된 필립 솔레르스, “모차르트 평전”(효형출판사)이 있는데, 이 책에 대해서는 제가 다른 글에서 소개해 드렸습니다.
이러한 책들 이외에도 몇 가지 책들이 있습니다만, 그다지 추천하고 싶지는 않습니다. 예컨대 모차르트의 死因을 다룬 책도 있고, 모차르트가 대단히 혁명적인 사고를 가지고 있었다는 면을 부각시킨 책도 있습니다만, 모차르트 음악을 음미하는데는 그다지 큰 도움이 되지는 않을 듯합니다.
모차르트의 삶과 음악을 전반적으로 훑어서 서술하고 있는 책도 한 권 있습니다. 시공사의 “시공 디스커버리 총서”로 나온 “모차르트, 신의 사랑을 받은 악동”이라는 책입니다. 프랑스 사람이 쓴 글이라서 상당한 기대를 하고 읽어보았습니다만, 그 내용의 평이함에 지루함마저 느껴지더군요. 사실 모차르트에 관한 맛깔쓰러운 글들은 프랑스 사람들이 잘 쓰는 편이고, 아주 심오한 차원의 글은 독일 사람들이 잘 쓰는 편인데, 이 책만큼은 평이함 그 자체였습니다.
마지막으로 모차르트의 편지를 번역한 책도 있지요. “모차르트, 천 번의 입맞춤”(예담)이 그것인데요. 이쁘장한 책입니다. 영어에서 번역한 책인데, 번역의 흠을 잡고 싶기보다는 참 이쁘다고 말하고 싶은 책입니다. 다들 알다시피, 모차르트의 편지 분량은 어마어마합니다. 그러나 그중 극히 일부만을 번역한 책인데, 우리나라의 열악한 환경상 이 정도라도 있는 게 다행입니다.
아직 번역이 안된 모차르트 관련 서적 중에서 정말 번역되어야 할 책으로 저는 알프레트 아인쉬타인의 저작 “모차르트: 그의 성격과 그의 작품”을 꼽고 싶습니다. 영어판도 있으니만큼 번역될 만도 한데, 아직 안 되었더군요. 몇년 지나도 이 책이 번역이 안된다 싶으면 제가 직접 번역해볼까 생각 중인 책이기도 합니다.
그 책을 소개하자면, 그 책의 “머리말”을 번역해 올리는 것으로 충분할 것입니다. 이 책이 국내에 번역된다면, 모차르트 관련 서적 중에서 가장 규범적인 책이 되지 않을까 싶습니다. 자 그러면 머리말을 한번 읽어볼까요?
Alfred Einstein, Mozart: sein Charakter und Werk
머리말
이 책은 모차르트의 생애와 작품 입문서가 아니다. 이미 그의 생애와 관련하여 얼마간의 연대에 익숙한 독자들, 무엇보다도 적어도 그의 얼마간의 작품들을 들어보고 사랑해온 독자들을 위한 것이다. 이 책은 그들에게 아마도 새로운 자극과 인식을 제공해 줄 수 있을 것이다.
오랫동안 나는 모차르트에 깊이 몰두했다. 쾨헬의 연도별-주제별 목록, 즉 모차르트 작품의 일반적 인용기준이 되는 목록의 제3판을 작업하는 동안에 특히 그랬다. 다년간 그 작업을 하는 동안(1929-1937)에 나는 공간된 모든 모차르트 수고手稿와 판본은 물론 개개 작품의 내적인 의미와 양식을 붙들고 늘어졌다. 불가피하게 나는 많은 점에서 새로운 결과에 도달하여, 급기야 그 결과를 딱딱한 목록형식으로만 내놓을 게 아니라 내밀하고 생생한 맥락과 함께 내놓을 필요를 느끼게 된 것은 어쩌면 당연하리라.
최근 수십년간 새로 발견된 자료들 중에서 모차르트의 생애를 밝혀주는 자료는 매우 희소한 까닭에, 애써 모든 면을 시시콜콜 재차 설명하려고 하지는 않았다. 나의 의도는 그저 모차르트의 성격, 그리고 그 성격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쳤던 사람들과 사건들을 가급적 편견에 치우치지 않고 예리하게 조명하자는 것이었다. 개개의 작품이 언급되거나 “서술”되지는 않는다. 이 점에서 역시 사람들은 “완벽함”을 아쉬워할 것이다. 그러나 나는 모차르트의 개개 창작을 그의 전체 작품 내로 배열하고자 했으며, 전체 작품을 그의 작곡 당시의 입장에서 그리고 우리와 그와의 관계라는 입장에서 고찰하고자 하였다.
모차르트 문학이라는 거대한 영역에서, 찬성을 통해서든 반박을 통해서든, 나는 수많은 작품들에 빚을 졌다. 그렇지만 무엇보다도 세 점의 최근 출판물에 특히 감사해야 할 것이다. 가장 커다란 감사는 지금까지 네 권으로 출판된 T. de Wyzewa와 G. de Sanit-Foix: “Wolfgang Amedee Mozart”(Paris, 1912, 1936, 1939, Desclee de Brouwer & Cie.)—처음 두 권은 두 저자의 공동 저작이며, 나중 두 권은 Monsieur de Saint-Foix 단독의 저작이다—에게 하는 것이 당연하다. 그간에 Monsieur de Saint-Foix가 마지막으로 다섯 권째를 완결할 수 있었음은 나로서는 각별한 기쁨이다. 모차르트의 피아노 협주곡을 다룬 장은 C.M. Girdlestone의 인상적인 연구 “Mozart et ses concertos pour Piano”(Paris 1939, Librairie Fischbacher)로부터 특별한 자극을 받았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대중적으로 사랑을 받는, Eric Blom의 모차르트에 관한 소책자(London 1935, J.M. Dent & Sons, “The Master Musicians”의 시리즈)를 거론해야겠다. 모차르트 부자의 편지를 인용할 때에는 쉬더마이어Schiedermair 판(München 1914, Gg. Müller)을 따랐지만, 볼프강과 레오폴트의 정서법상 특성들 전부를 고문古文에 충실하게 유지하지는 않았다.
영어판(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1945년 2월, 1945년 4월에 2쇄)이 독일어판보다 먼저 나왔다. 특별한 이유에서 언급하고 싶은 점이 있다. 이 판의 원래 원고는 1942년 8월 1일에 탈고했으며, 그 이후 본문의 수정은 한 군데도 이루어지지 않았다.
Northampton, Mass., 1945년 3월 9일. 알프레트 아인슈타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