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uthor Archives: 고싱가

새로운 모차르트 작품 두 곡 발견

잘츠부르크 국제 모차르테움 재단 학술국이 소위 “난네를-노트”에 있는 협주곡 한 악장과 프렐루디움 한 곡이 어린 볼프강 아마데우스 모차르트의 작품임을 공식적으로 확인하다.

모차르테움 재단 학술국장 울리히 라이징거Ulrich Leisinger는 저자 서명이 없이 전승된 클라비어 소품 두 곡을 확실성에 가까운 개연성을 가지고 어린 모차르트의 작품들임을 확인했는데, 문제가 된 것은 난테를-노트 말미에 실려 있는 협주곡 한 악장과 프렐루디움 한 곡이다. 난네를-노트는 레오폴트 모차르트가 1759년 여덟 살의 딸 마리아 안나 (“난네를”)을 위해 사용한 것으로, 이 노트는 연습곡 이외에도 볼프강 아마데우스 모차르트의 첫 작곡들을 포함하고 있다.

레오폴트 모차르트의 필사로 전승된 이 클라비어 두 곡은 이제까지 익명의 작곡으로 여겨졌다. 문서검증과 양식적 분석에 바탕한 울리히 라이징거의 학문적 추론은 확실성에 가까운 개연성이 있다. 이 곡들은 기보에 익숙하지 않은 어린 모차르트, 즉 자신의 작품을 아버지에게 기보해 달라고 피아노로 연주했던 모차르트의 작품들인 것이다. 레오폴트는 아들이 작곡한 곡들 중 일부만 아들의 이름을 병기했다.
 

울리히 라이징거의 말:

“수준 높은 거장의 몰토 알레그로와 관련된 것은 분명히 G장조 쳄발로 협주곡 1악장입니다. 이 곡에서 쳄발로 성부의 독주만 기보되어 있고, 오케스트라 리토르넬로는 거의 완전히 배제되어 있습니다.”

“18세기 잘츠부르크의 클라비어 책들은 많이 있지만, 어느 책에서도 이와 유사한 기교를 요구하는 곡은 발견되지 않습니다.”
 

필사본은 레오폴트의 휘갈긴 필사를 보여주고 있는데, 이는 작곡할 때의 전형적인 쓰기방식이다. 양식적인 근거에서 레오폴트는 저자일 가능성이 없다. 고도의 기교적 요구사항들과 작곡가적 경험이, 레오폴트 모차르트를 저자로 볼 가능성을 배제하고 있는 것이다.

국제 모차르테움 재단에서 악보를 다운로드할 수 있으며, 플로리안 비르작Florian Birsak의 쳄발로 연주로 새로 발견된 곡들을 들어볼 수 있다.